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행성: HD 189733b>, 유리비의 행성
    천문우주과학 2025. 5. 10. 11:44
    반응형

    <행성: HD 189733b>, 유리비의 행성

     

     

    안녕하세요! 오세모리입니다!
    오늘은 예고한 바와 같이 유리비의 행성 HD 189733b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HD 189733b는 어떤 행성일까?

     

      2005년, 천문학자들은 우리로부터 약 64광년 떨어진 '여우자리(Vulpecula)' 방향에서 아주 특별한 외계행성을 발견했습니다. 이름은 HD 189733b. 이름만 보면 딱딱하고 복잡하지만, 이 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들 중에서도 특히 대중과 과학자 모두에게 큰 주목을 받았어요.

    이유는 바로 지구처럼 파란색을 띠는 대기, 그리고 극단적인 날씨 때문입니다. 우리 눈에는 지구와 같이 푸른 바다 행성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완전히 다른, 상상하기 조차 어렵고 신비한 세계가 펼쳐져 있습니다.


    2. 지구처럼 파란색? 왜 푸른색일까?

      HD 189733b는 허블 우주망원경을 통해 대기 조성을 분석하면서 흥미로운 색깔을 드러냈습니다. 바로 푸른색!

    하지만 이 파란빛은 지구처럼 바다나 하늘 때문이 아닙니다. 지구는 햇빛이 대기 중 산소, 질소 분자에 산란되면서 푸르게 보이지만, HD 189733b의 파란색은 전혀 다른 이유에서 비롯됐습니다.

    이 행성의 대기에는 실리케이트 입자(유리 입자처럼 생긴 것들)가 떠다니고 있는데요, 이 입자들이 짧은 파장의 푸른빛을 강하게 산란시키는 현상 때문에 푸르게 보이는 것입니다. 때문에 과학자들은 지구처럼 생긴 푸른 행성이라는 기대를 접고, 그저 눈에 띄는 외형일 뿐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3. 지옥같은 날씨 – 바람의 속도는 시속 8,700km?

      색은 예뻐 보일지 몰라도, HD 189733b는 사람이 살기는커녕 접근조차 힘든 극한 환경입니다. 이 행성은 뜨거운 목성형 행성(Hot Jupiter)으로, 크기는 목성과 비슷하지만, 별과의 거리는 무척 가까워서 표면 온도가 무려 약 1,000도에 달한다고 합니다.

    게다가 더 놀라운 건 바람의 속도입니다. NASA와 유럽우주국(ESA)의 관측에 따르면, 이 행성의 대기에는 시속 8,700km에 달하는 초강력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지구에서 가장 강한 허리케인의 수백 배에 해당하는 속도죠.

    과학자들은 이 바람이 행성 전체를 가로질러 불며 뜨거운 면에서 차가운 면으로 에너지를 이동시키고 있다고 봅니다. 이로 인해 HD 189733b의 대기는 굉장히 격렬하고 역동적인 모습을 보인다고 합니다.


    4. 유리비가 내리는 곳?

      HD 189733b의 가장 유명한 별명 중 하나는 바로바로 "유리비의 행성"입니다. 이 말은 과학적 상상이 아니라, 실제 대기 조성 분석을 통해 추론된 사실에서 비롯됐습니다.

    앞서 언급한 실리케이트(유리 입자처럼 생긴 것들) 입자들이 대기 중에 떠 있고, 고온의 환경에서 응결되면 유리와 같은 물질이 액체 상태로 떨어질 수 있다는 것!! 그것도 바람에 실려 수평으로 휘몰아치며 "비처럼" 떨어진다는 추측이 가능해졌습니다.

    상상해 보세요. 하늘에서 유리가 비처럼 쏟아지고, 그것이 초속 수 킬로미터의 속도로 내리꽂힌다는 장면을요. 정말 영화에서나 볼 법한, 아니 영화에서도 보기 힘든 장면 아닐까요?


    5. 이 행성에서 생명체는 존재할 수 있을까?

      지금까지의 내용을 보면 답은 너무나 명확합니다. 불가능합니다.

    HD 189733b는 온도가 너무 높고, 유리비와 초고속 바람이 불며, 지표도 없고, 생명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조건이 전혀 없는 곳입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생명 가능 영역(Habitable Zone)'과는 전혀 거리가 먼 곳입니다.

    하지만 이 행성의 중요성은 바로 외계 행성 연구의 출발점 중 하나라는 점입니다. 2007년, HD 189733b는 대기의 분자 조성이 최초로 분석된 외계행성이기도 해요. 이후로 다양한 외계행성 대기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발전했고,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같은 차세대 관측기기를 통해 더 정확한 탐사가 가능해졌습니다.

    이 행성은 마치 외계행성 연구의 시험무대 같은 존재인 셈!


    6. 지구와 닮은 듯 다른 행성에서 우리가 배우는 것

      HD 189733b는 우리에게 "외계행성"이라는 개념을 단순한 공상과학이 아니라 실제로 존재하는 우주의 또 다른 세계로 인식하게 해줍니다.

    푸른색 외형은 지구를 떠올리게 하지만, 그 안에는 사람의 상상을 뛰어넘는 자연현상들이 일어나는 세계가 있죠. 이런 행성을 탐사함으로써 우리는 우리 태양계 바깥에 얼마나 다양한 환경이 존재하는지를 알게 되었고, 언젠가는 지구와 더 닮은, 더 온화한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으리란 기대도 하게 됩니다.


      HD 189733b는 지구처럼 보이지만 전혀 다른 외계행성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언뜻보면 지구와 비슷해 보이지만, 그 안에 담긴 유리비와 같은 과학의 신비를 들여다보면, 우리는 지금 이 순간도 우주라는 끝없는 무대에서 얼마나 다양한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알게 됩니다.

    외계 행성은 더 이상 SF가 아닙니다. 지금도 새로운 세계들이 관측되고 있고, HD 189733b처럼 놀라운 이야기를 가진 행성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 여기까지 신비로운 "유리비의 행성: HD 189733b"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알면 알수록 놀라운 우주의 세계! 저도 죽기전에 우주여행을 떠나 보고 싶은 생각이 드는데요. 해서 다음 주제는 우주여행 방법과 비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같이 떠나보시죠!

     

     

     

    2025.05.09 - [천문우주과학] - <신의 존재>, 아인슈타인도 믿었다?

     

    <신의 존재>, 아인슈타인도 믿었다?

    안녕하세요, 오세모리입니다!오늘도 보다(BODA) 채널의 과학을 보다에서 흥미롭게 본 "과학자들은 신의 존재를 믿을까?" 라는 주제에 대해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목차1. 통계로 본 과학자의 신앙

    alllreview.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