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외계행성>, 외계인의 가능성?!
    천문우주과학 2025. 4. 25. 11:10
    반응형

     

    목차

    1. 외계의 바다를 품은 행성
    2. 별 근처에서 증발 중인 행성
    3. 구름이 금속으로 된 행성
    4. 화학적 비대칭성의 수수께끼
    5. 먼지로 뒤덮인 초거대 행성

     

    1. 외계의 바다를 품은 행성

     

     이전에 포스팅 했던  K2-18b는 태양에서 약 120광년 떨어진 곳에 있어요. 제임스 웹 망원경은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뿐 아니라 이산화탄소와 메탄의 흔적까지 발견했는데요. 과학자들은 이 조합을 보고 이 행성에 액체 상태의 바다가 있을 가능성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놀라운 점은 이 행성이 *하이세안 행성일 수 있다는 것! 지구와는 전혀 다른 환경이지만,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을지도 모른다고 하네요.

    게다가 이 대기에서 *디메틸설파이드의 흔적도 포착됐는데, 이건 지구에선 오직 생명체에 의해서만 생성되는 물질이에요. 물론 아직 확실한 건 아니지만, 외계 생명체의 존재를 암시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 중 하나랍니다.

    • 하이세안 행성(Hycean planet):
      ‘Hydrogen’(수소) + ‘Ocean’(바다)의 합성어로 두꺼운 수소 대기와 바다로 덮여 있는 외계 행성을 말함.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과학자들이 주목하고 있는 유형.
    • 디메틸설파이드(Dimethyl sulfide, DMS):
      지구에서는 주로 해양 플랑크톤이 만들어내는 화합물. 만약 외계행성 대기에서 이 물질이 발견된다면, 생명체의 흔적일 가능성이 있음.

    2. 별 근처에서 증발 중인 행성

      WASP-107b는 뜨거운 해왕성으로 불리는 행성으로, 모항성에 아주 가까이 붙어 있어서 고온에 시달리고 있어요.
    제임스 웹은 이 행성이 단순히 뜨거운 것만이 아니라, 대기 상층부에서 수소와 헬륨이 탈출하고 있는 현상까지 포착했어요. 이건 마치 행성이 서서히 증발하고 있는 모습과도 같죠.

    지구에서 이런 모습을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이 행성은 증발하는 외계행성이라는 별명을 얻게 됐습니다. 우주에서는 이런 특이한 현상이 가능하다는 게 참 놀랍고도 신기합니다.


    3. 구름이 금속으로 된 행성

      WASP-121b  이 행성은 지구보다 약 1.8배 큰 뜨거운 목성 유형의 외계행성이에요.
    제임스 웹은 이 행성의 대기에서 수증기뿐만 아니라 철과 바나듐산염 같은 금속 성분의 구름을 발견했어요. 구름이 금속이라니? 상상도 안 되는 일이지만, 엄청난 온도 때문에 이런 금속들이 기화되어 대기에 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낮과 밤의 온도 차이도 매우 커서, 밤쪽에는 금속이 응결되고 낮쪽에서는 다시 기화하는 금속 비 같은 현상도 가능하다고 하네요.


    4. 화학적 비대칭성의 수수께끼

      HD 209458b는 워낙 오래전부터 유명한 외계행성인데, 제임스 웹은 이 행성을 다시 들여다봤고, 놀라운 걸 발견했어요.
    바로 이 행성의 대기 조성이 낮과 밤 사이에 완전히 다르다는 점이에요. 낮 쪽에서는 일산화탄소(CO), 밤 쪽에서는 이산화탄소(CO₂) 비율이 확연히 달랐어요.

    이는 대기 순환이 느리거나 특정 방향으로만 흐르고 있다는 뜻인데, 단순히 ‘뜨겁다’, ‘구름이 있다’ 같은 이야기보다 훨씬 복잡하고 생동감 있는 행성의 분위기를 보여주는 증거랍니다.


    5. 먼지로 뒤덮인 초거대 행성

      마지막으로 소개할 VHS 1256 b 이 행성은 아주 특이해요. 태양에서 약 40광년 떨어져 있는 이 초거대 행성은 질량이 목성의 19배나 된다고 합니다.
    제임스 웹은 이 행성의 대기에서 탄소 일산화물, 메탄, 수증기뿐 아니라, 실리케이트 먼지 구름까지 감지했고, 그 말은 이 행성이 구름과 먼지에 완전히 휩싸여 있다는 뜻이죠.

    심지어 이 먼지는 아주 고온에서 대기를 타고 움직이며, 불타는 구름처럼 행성 대기를 휘감고 있다고 해요. 이쯤 되면 영화 속 외계행성보다 더 신비롭죠.

     

     

    📝 여기까지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 웹으로 관측된 "외계행성" 대해 포스팅을 해봤는데요. 아직 외계 생명체의 존재가 증명된 건 아니지만 이렇게 다양한 데이터를 통해 하나하나 퍼즐을 맞추는 중이니, 언젠가는 정말 신호가 오지 않을까요?

    다음 주제는 과학 블로그인 만큼 과학의 날을 맞아  "과학문화바우처"에 대해 상세히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04.23 - [천문우주과학] - <제임스웹>, 무한 너머를 엿보다

     

    <제임스웹>, 무한 너머를 엿보다

    이전 포스팅부터 계속 언급이 되던, 허블 우주망원경에 이은 차세대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목차1. 허블의 후계자, 제임스 웹은 어떤 망원경일까? 2. 제임스 웹의

    alllreview.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