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0만 장 풀렸다! 공연·전시 할인권 지금 선착순으로 받으세요이슈 2025. 8. 8. 10:05반응형
210만 장 선착순 할인권 대방출 🎭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풀렸다! 문화생활 저렴하게 즐기는 법
8월 8일부터, 문화생활을 좋아하는 분들이라면 놓치면 아쉬울 소식이 시작됐습니다. 바로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이 선착순으로 배포되기 시작한 건데요. 문화체육관광부가 1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해 국민 누구나 일상 속에서 문화를 더 가까이 누릴 수 있도록 준비한 이번 정책, 어떻게 받을 수 있고,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목차
1. 할인권 배포 개요
2. 할인권 종류와 혜택
3. 발급 방법 및 예매처
4. 할인권 사용 조건
5. 자주 묻는 질문(Q&A)1. 할인권 배포 개요
문화체육관광부는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와 함께
총 210만 장의 공연·전시 할인권을 선착순으로 배포합니다.
이는 2025년 2차 추경 100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 추진되는 사업으로,
공연과 전시 관람을 장려해 국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 문화예술계에도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포 기간: 2025년 8월 8일(목) 오전 10시 ~ 9월 19일(금) 오후 11시 59분
📍 총 수량: 210만 장 (소진 시 조기 종료)
2. 할인권 종류와 혜택
종류 수량 할인 혜택 공연 할인권 50만 장 관람료 1만 원 할인 전시 할인권 160만 장 입장료 3,000원 할인 🎁 추가로!
타임티켓에서는 수도권을 제외한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2매(공연 + 전시 각 1매)를 더 받을 수 있어요.
최대 1인당 12매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놓치지 마세요!
3. 발급 방법 및 예매처
할인권은 다음의 5개 온라인 예매처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 인터파크
- 멜론티켓
- 타임티켓
- 티켓링크
- 예스24
✔️ 각 예매처마다 공연 2매, 전시 2매씩 총 4매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
타임티켓에서는 비수도권 전용 할인권 4매(공연 2매 + 전시 2매)를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4. 할인권 사용 조건
✅ 적용 가능한 공연
- 연극, 뮤지컬, 클래식(서양음악), 국악(한국음악), 무용, 복합예술
※ 대중음악 및 대중무용은 할인 대상 제외
✅ 적용 가능한 전시
- 시각예술 전시, 아트페어, 비엔날레
※ 산업박람회 등은 할인 대상 제외
✅ 할인 적용 기준
- 공연: 총 결제금액 15,000원 이상
- 전시: 총 결제금액 5,000원 이상
→ 단일 티켓 가격이 할인 기준 미만이어도, 총합이 기준 이상이면 사용 가능!
⚠️ 사용 기한: 2025년 9월 19일까지 반드시 사용해야 함
5. 자주 묻는 질문(Q&A)
Q1. 미성년자나 외국인도 할인권 사용할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본인 명의로 예매처 회원가입이 되어 있다면 사용 가능합니다.Q2. 할인권은 공연/전시 각각 따로 발급받나요?
A. 네, 따로 발급됩니다. 각 예매처에서 공연 2매, 전시 2매씩 받을 수 있어요.Q3. 여러 예매처에서 중복 발급 받을 수 있나요?
A. 가능합니다! 최대 공연 10매 + 전시 10매까지, 타임티켓 포함 시 최대 12매까지도 가능해요.Q4. 현장 발권 시에도 할인 받을 수 있나요?
A. 할인권은 온라인 예매 전용입니다. 다만 국공립 공연장에서는 현장에서 온라인 예매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어요.Q5. 결제 후 예매를 취소하면 할인권은 사라지나요?
A. 아니요, 취소 시 할인권은 복구됩니다. 단, 예매처별 정책이 다를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Q6. 다른 할인과 중복 적용이 가능한가요?
A. 원칙적으로는 가능하나, 예매처마다 정책이 다를 수 있어 개별 확인이 필요합니다.반응형'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오전 10시부터 시작] 공연·전시 할인권 210만 장 대방출! (1) 2025.08.08 소비쿠폰 1인당 얼마? 7월 19일부터 지급금액 확인 가능 (0) 2025.07.15 7월 22일부터 신청!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대상·사용처까지 정리 (0) 2025.07.08 위약금 없이 해지하는 법, SKT 공식 안내 요약 (7/14 전까지) (0) 2025.07.04 배당소득세 인하, ‘주식으로 생활비’ 시대 열리나? (1) 2025.07.03